임신확인서 온라인 발급 방법, 시기, 비용
임신확인서는 임신 사실을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문서로, 출산휴가 신청, 육아휴직, 각종 정부 지원금(예: 출산지원금,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) 등을 신청할 때 필수로 요구됩니다.
예전에는 병·의원을 방문해야만 발급 가능했지만, 최근에는 전자문서 형태로 온라인 발급이 가능해져 훨씬 편리해졌습니다.
임신확인서 발급 시기
임신확인서는 보통 임신 6~8주차에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 심장박동이 확인된 이후 발급됩니다. 너무 이른 시기에는 정확한 임신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발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초기 검진 후 의료진이 임신 사실을 확인해 준 시점에 발급받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온라인 발급 방법
임신확인서는 병·의원에서 진료 후 전자문서 형태로 발급 요청할 수 있으며, 발급된 문서는 정부24 또는 국민건강보험 앱(더헬스보험)을 통해 확인 및 출력 가능합니다.
(1) 정부24 이용 방법
- 정부24 접속
- 상단 검색창에 ‘임신확인서’ 입력
- ‘전자문서 지갑’ 또는 ‘민원 발급’ 메뉴에서 로그인
- 발급된 임신확인서 확인 후 PDF 저장 또는 출력
(2) 국민건강보험 앱 이용 방법
- 더헬스보험 앱 설치 및 로그인
- 민원신청 → 건강검진·진단서 조회 메뉴 이동
- ‘임신확인서’ 선택 후 확인 및 다운로드
- 필요 시 프린터로 출력
TIP: 전자문서로 발급받으면 종이 문서 분실 위험이 없고, 온라인 제출이 가능해 편리합니다.
발급 비용
- 병·의원 발급: 보통 1,000원~3,000원 정도(의료기관마다 상이)
- 온라인 열람/출력: 무료
다만, 초진 진료와 초음파 검사 비용은 별도로 발생합니다.
임신확인서 활용처
- 출산휴가·육아휴직 신청
- 출산지원금·육아수당 등 지자체 지원금 신청
-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신청
- 고용보험 출산전후급여 청구
정리
임신확인서는 단순한 진단서가 아니라 출산과 육아 관련 행정 절차에서 핵심 서류입니다. 발급 시기를 놓치지 말고, 가능한 한 온라인 발급 서비스를 활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